목록맵 (2)
study record
프로그래밍에서 모나드가 갖춰야 하는 조건 타입을 인자로 받는 타입(특정 타입의 값을 포장) 특정 타입의 값을 포장한 것을 반환하는 함수가 존재 포장된 값을 변환하여 같은 형태로 포장하는 함수가 존재 모나드를 이해하는 출발점은 값을 어딘가에 포장하는 개념을 이해한 것에서 출발한다. 스위프트에서 모나드를 사용한 예 중에 하나가 바로 옵셔널이다. 옵셔널은 값이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상태를 포장하는 것이다. 함수객체와 모나드는 특정 기능이 아닌 디자인 패턴 혹은 자료구조라고 할 수 있다. 컨텍스트 이번 파트에서 컨텍스트는 '콘텐츠를 담은 그 무엇인가'를 뜻한다. 물컵에 물이 담겨있으면 물은 콘텐츠고 물컵은 컨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옵셔널은 열거형으로 구현되어 있어서 열거형 case의 연관값을 통해 인스턴스 안..
맵 맵은 자신을 호출할 때 매개변수로 전달된 함수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다시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배열, 딕셔너리, 세트, 옵셔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맵을 사용하면 컨테이너가 담고 있던 각각의 값을 매개변수를 통해 받은 함수에 적용한 후 다시 컨테이너에 포장하여 반환한다. 기존 컨테이너의 값은 변경되지 않고 새로운 컨테이너가 생성되어 반환된다. 맵은 기존 데이터를 변형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map 메서드의 사용법은 for-in 구문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코드의 재사용 측면이나 컴파일러 최적화 측면에서 성능 차이가 있다. 다중 스레드 환경일 때 대상 컨테이너의 값이 스레드에서 변경되는 시점에 다른 스레드에서도 동시에 값이 변경되려고 할 때 예측지 못한 결과가 발생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