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생명주기
- 해시
- 프래그먼트
- 프로퍼티
- 옵셔널
- 차이
- async
- 구조체
- 프로그래머스
- 풀이
- 리스트뷰
- View
- 연산자
- Self
- 백준
- RxSwift
- ios
- weak
- concurrency
- Swift
- Subject
- 스위프트
- 이스케이핑
- 알고리즘
- 안드로이드
- noncopyable
- 클로저
- observable
- rx
- 자바
Archives
- Today
- Total
study record
[Swift]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 변수와 상수 본문
변수와 상수
변수와 상수는 특정 데이터 타입에 해당하는 값의 이름이다.
변수는 생성 후 데이터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상수는 한번 값을 설정하면 다음에 변경할 수 없다.
변수
스위프트에서 변수를 생성할 때, var 키워드를 사용한다.
var [변수명] : [데이터 타입] = [값]의 형태로 선언한다.
변수를 생성할 때 데이터 타입은 생략할 수 있다.
데이터 타입을 생략하면 컴파일러가 타입을 추론하여 타입을 지정한다. 자칫 잘못된 타입 추론으로 인해 오류가 생기면 오류 잡기에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var name: String = "asong"
상수
스위프트에서는 let 키워드를 사용해 상수를 생성한다.
let [상수명]: [데이터 타입] = [값]
let name: String = "asong"
상수를 사용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가독성이다.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이다. 차후 값의 변경을 신경쓰지 않아도 될 때 사용한다. 또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Swift >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 범위 연산자 (0) | 2021.09.14 |
---|---|
[Swift]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 데이터 타입 안심 (0) | 2021.09.13 |
[Swift]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 콘솔 로그 & 문자열 보간법 (0) | 2021.09.11 |
[Swift]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 기본 명명 규칙 (0) | 2021.09.10 |
[Swift]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 스위프트의 언어적 특성 (0)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