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9)
study record
액티비티 Activity는 사용자가 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활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페이지이다. 액티비티는 가장 바닥에 존재하는 틀같은 것이다. 액티비티 없이는 View도 프래그먼트도 존재할 수 없다. 프래그먼트 프래그먼트는 액티비티와 View의 개념을 합쳐놓은 것이다. 프래그먼트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액티비티를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View를 변경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한다. 프래그먼트는 화면 안에 들어가는 레이아웃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 번만 정의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다. 프래그먼트를 통해 하나의 화면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보여줄 수 있으며, 분할된 화면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프래그먼트는 항상 액티비티 위에 올라가서 동작한다..
프래그먼트에는 액티비티의 setContentView()메소드가 없다. 액티비티의 setContentView()메소드를 통해 화면에 나올 xml 파일을 손쉽게 지정할 수 있었다. 프래그먼트에서는 이 메소드가 없으므로 XML레이아웃 파일의 내용을 소스파일과 매칭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인플레이션 객체 LayoutInflater를 사용해 인플레이션을 진행한다. 클래스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코드는 onCreateView()메서드 안에 기술한다. 이후 inflate() 메서드를 호출하고, 인플레이션 과정 종료, 뷰처럼 동작하게 된다.
백준 11654번 아스키코드를 출력하는 문제이다. 아스키코드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String을 char형으로, 그리고 int 형으로 바꾸면 된다. char word = br.readLine().charAt(0); bw.write(String.valueOf((int)word)); 백준 11720번 String에서 charAt을 이용해 char형으로 각 문자를 뽑아내고 아스키코드가 아닌 문자 그대로의 int 값을 뽑아낼 필요가 있었다. sum+=numbers.charAt(i)-'0'; String에 charAt으로 char형을 뽑고 -'0'을 하면 문자 그대로의 숫자 int를 얻을 수 있다. 문자 '0'의 아스키코드는 48로 각 char에 '0'을 빼면서 보이는 숫자를 얻을 수 있다. Character.ge..
백준 1546번 출력 값이 double로 나와야했다. 알고리즘을 짜는데에는 문제가 없었고, BufferedWriter로 double값을 출력을 어떻게 해야하나 싶었는데 그냥 값 자체를 double로 만들면 되는 거였다. Integer.parseInt가 아닌 Double.parseDouble을 써 본 계기가 되었다. 백준 8958번 OX퀴즈 문제로 연속으로 맞출경우 점수도 올라가는 문제였다. count와 sum을 초기화하지 않아서 한 번에 제대로 되지 않았다. 초기화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되었다. 백준 4344번 여러 학생들의 평균과 그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출력하는 문제였다. 반올림하여 소수 셋째점까지 출력하는 거였는데 bw.write(String.format("%.3f", perc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