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9)
study record
문자열 String타입을 입력받아 리턴해주는 메소드에는 next()와 nextLine() 둘 다 사용가능하다. 매번 이 둘의 차이점을 알아야지 하고 기억하지 못해서 정리한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next()는 공백 space bar를 치기 전까지를 전달한다. nextLine()은 엔터를 치기 전까지를 전달한다. 주로 next()는 한 단어, nextLine()은 한 문장을 전달받는다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주의해야 할 점은 nextLine()을 사용하기 전에 nextInt()나 next()를 사용했을 경우 엔터가 그대로 남아있어서 그냥 넘어가버린다. 따라서 nextLine()을 한 번 더 적어주면 해결된다. 또는 nextLine()을 먼저 하고, next()를 사용해도 될 것이다.
2tier C/S 모델: 데이터를 보내주는 기능(응답) : 서버 데이터를 요청 : 클라이언트 3-tier 모델: 클라이언트와 응용서버(미들웨어)와 데이터 서버 응용서버와 데이터서버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과정 TCP/IP 연결 파이프(연결하는 역할) -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는 반드시 스레드로 인터넷 사용 - UI 업데이트를 위해서 반드시 핸들러를 사용 - asyncTask를 쓰면 눈에 보이지는 않아도 내부적으로 사용 - 클라이언트가 스레드 생성하고 스레드가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가 응답하고 스레드가 post()메소드로 UI업데이트하는 플로우 - 소켓은 네트워킹의 기본. - 이클립스 사용하는 것도 좋다.
- 메인 스레드가 기본적으로 만들어져있음. - 직접 스레드를 만들 때에 직접 리소스에 접속하게 되면 접근 불가 - 액티비티에서 스레드 접근 시 에러 - 표준 자바에서 스레드 사용 방법: 객체 생성해서 사용 - ui에 직접 접근 불가 - 핸들러로 해결 - ui안에 핸들러 만들어서 핸들러로 접근 핸들러가 큐로 처리함. - 안드로이드에서 인터넷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핸들러, 스레드를 사용해야 함.
안드로이드는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스크롤 뷰가 감싸면 알아서 스크롤이 자동으로 생긴다.